아파트 입주 후 거실 아트월 타일 탈락 및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는데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원인과 대책방안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자
Art wall tile in the living room are often dropped or deformed after moving into an apartment
Let's find out the causes of the phenomenon and countermeasures
공동주택 거실 아트월 타일 변형 및 탈락이 발생하여 TV 장식장 및 벽걸이 TV 등의 물품 피해가 종종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며, 간혹 어린 아이 등이 다치는 상해가 발생하는 경우도 종종 볼 수 있다.
Art wall tiles in the living room of an apartment house were deformed and dropped, causing
damage to TV decorations and wall-mounted TVs
It may occur, and it is often seen that injuries such as young children are sometimes injured
공동주택의 경우 특정 세대의 문제가 아니라 같은 평형 다수의 세대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In the case of apartment houses, it is not a problem of a specific household, but a problem
of multiple households with the same equilibrium there is
이러한 거실 아트월 타일 들뜸 및 변형,탈락이 발생하는 이유는 크게 네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There are four main reasons why art wall tiles in the living room are lifed, deformed, and
dropped
첫째, 근본적인 원인은 아니나 타일 뒷면 피착면적이 현저하게 적게 시공된 경우이다.
First, although it is not a fundamental cause, it is a case where the area to be attached to
the back of the tile is significantly smaller
둘째, 골조벽체와 조적 혹은 건식(석고보드) 확장 벽체의 수축 변위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로
연결 부위(조인트) 움직임 균열 및 들뜸, 탈락이 발생하는 가장 보편적인 원인이다.
Second, it is caused by the difference in the shrinkage displacement between the frame wall
and the constructed or dry(plaster board) extension wall
It is the most common cause of cracking, excitation, and disconnection of movement of
the joint
셋째, 내부와 외부 외기 온도차에 의한 외부 콘크리트 변위 발생(상층부로 갈수록 크다)이다.
Third, it is the occurrence of external concrete displacement due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air(it is larger as it goes to the upper layer)
넷째, 기타 설계적인 원인으로 내부 콘크리트 벽체와 외부 콘크리트 벽체가 연결되어 있지 않고
중간에 단열재가 있는 경우이다.
Fourth, for other design reasons, the inner concrete wall and the outer concrete wall are
not connected
This is the case of insulation in the middle
1. 최근 C-house(Compact House) 설계가 적용된 공동주택에는 동일 현상이 같은 세대에 지속적
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The same phenomenon continues in the same household for apartment houses with C-house
(Compact House) design
It is often caused by
2. 대부분 타일 자재가 외산자재로 동일 제품이라도 생산 시에 무늬와 색상이 동일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시공사에도 부담으로 작용하고, 하자보수를 받는 입주민도 색상이 동일하지 않을 경우 미관상
클레임까지 제기하는 경우가 있다.
Most of the tile materials are made of foreign production, but the pattern and color are not
the same during production
In many cases, it is a burden on constrution work, and if the colors are not the same for
residents who receive defect repair, the appearance is not beautiful
There are cases where even claims are filed
골조 + 조적벽체 혹은 골조 + 건식벽체(석고보드) 조인트 구간의 변형에 완벽하게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은 존재하지 않지만 다음과 같은 대책방안을 강구할 수 있다.
It can perfectly cope with deformation of the frame(RC) + masonry wall or the frame(RC) +
dry wall (plaster board) joint section there is not plan
But the following countermeasures can be devised
1. 타일 보수 전 철거를 위한 보양, 벽걸이 TV 등 부착물 철거 및 자재수급 현황 확인 및 입주민과의
협의를 거쳐 전체적으로 철거를 실시한다.
Check the status of materials supply and demand for maintenance, wall-mounted TV, etc.
For demolition before tile repair, and check the status of residents
The demolition is carried out as a whole after consultation
2. 배면이 석고보드일 경우 타일 철거 시 석고보드가 파손된 경우 추가 석고보드를 시공토록 한다.
If the rear side is a gypsum board, if the gypsum board is damaged during tile removal,
an additional gypsum board shall be constructed
3. 이질재 접합부위에 변성 실리콘(PARA BOND)을 시공하여 부착토록 하고, 타일 시공 후 일정
부위 간격재를 시공토록 한다.
Denatured silicon(PARA BOND) should be constructed and attached to the joints of
foreign materials
After tile construction, the gap material in certain areas shall be used
Construct it
다음으로는 이질재 연결부위가 아닌 경우에는 타일 피착 면적을 40% 이상 확보할 것을 추천
드린다.
Next, it is recommended to secure at least 40% of the tile adhesion area if it is not a
foreign material connection
I'll give it's for you
물류창고 복합 지붕판넬 시공 전 재료관리 부실 및 시공관리 미흡에 의한 누수 발생과 대책방안 (0) | 2022.03.11 |
---|---|
소방 스프링클러 배관 누수 유형에 따른 원인과 대책방안 (0) | 2022.03.11 |
주방 벽체 타일 줄눈 터짐 및 지속적 변형 발생(들뜸, 처짐) 원인과 대책방안 (0) | 2022.03.08 |
물류창고 지붕 천장 판넬 조인트 누수 발생원인과 대책방안 (0) | 2022.03.02 |
냉장용 냉동기의 오일 불균형 발생에 의한 shut down 발생원인 및 대책방안 (0) | 2022.02.27 |
댓글 영역